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장이 끝난 오후,
    모니터를 보며 스스로에게 묻는다.

    “오늘도 놓쳤네… 그런데 도대체 그 종목들은 어떻게 오르는 거지?”

     

    한두 번 운 좋은 ‘감’이 아니라,
    데이터와 확률로 도달 가능한 시스템이 있다면?
    지금 그 핵심 알고리즘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급등주는 우연이 아니다: 3단계 알고리즘 접근

    급등주 발굴의 핵심은 이 세 단어로 요약된다.

    ① ‘거래량

     

    ② ‘이격도

     

    ③ ‘이슈(News)

    이 세 가지는 서로 독립적인 게 아니라,
    선후 관계를 가지며 움직이는 연결 고리다.

     

    ✅ 1단계: 거래량, 움직임의 시작

     

     

     

    시장이 꿈틀대는 첫 신호는 가격이 아니라 거래량이다.

    • 전일 대비 3배 이상의 거래량 증가
    • 5일 평균 대비 150% 이상 거래량 돌파
    • 거래량 증가 + 양봉 → 세력 유입 가능성

    이 조건이 충족되면
    기술적 분석의 두 번째 신호로 진입한다.

    👉 급등주 거래량 필터링 조건 보러 가기

     

    ✅ 2단계: 이격도, 과열을 걸러낸다

     

     

     

    급등주는 항상 위험을 동반한다.
    그 위험을 판단하는 도구가 바로 이격도다.

    “이격도 = 현재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얼마나 위에 있는가?”

    • 5일선 대비 115% 이내
    • 20일선 대비 105~110%
    • 60일선 대비 100~108%
    • 즉, 과열되기 전, 막 상승 초입 구간

    여기서 무턱대고 진입하면 안 된다.
    이제 마지막, 뉴스와 테마를 검증해야 할 타이밍이다.

    👉 이격도 계산법과 활용법 정리 보기

     

    ✅ 3단계: 뉴스 or 이슈 = 스토리의 유무

    모든 급등주에는 반드시 “이야기”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 정책 기대감(예: 지역화폐, 반도체 지원)
    • 인수합병 루머
    • AI·로봇 등 장기 테마 트리거
      이 무엇이든, 시장은 ‘서사를 먹는다.’

    즉, 재료가 없으면 상승도 없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반등이 가능하지만,
    이슈가 없는 종목은 다음 날 급락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급등 테마 추적: 오늘자 뉴스 키워드 보기

     

     

    📌 실전 적용: 오늘 알고리즘에 들어맞는 종목은?

    6월 8일 기준으로
    이 알고리즘을 그대로 통과한 종목 3개는 다음과 같았다.


    종목명 거래량 증가 이격도 적정 테마
    쿠콘 +3.4배 5일선 대비 112% 금융 API, 지역화폐
    제이에스티나 +4.1배 20일선 108% 면세점 매출 회복
    성광벤드 +3.7배 60일선 106% 수소·에너지·유가
     

    👉 오늘자 급등주 TOP10 확인하기
    👉 쿠콘 종목 분석 자세히 보기

     

     

    💬 마지막으로, 급등주에는 ‘기회’만큼 ‘규칙’이 필요하다

    수익을 낸 트레이더와 손실을 본 트레이더의 차이는
    정보가 아니라 기준의 유무였다.

    급등주를 찾는 건 어렵지 않다.
    하지만 그 종목에 들어가야 할 ‘타이밍’을 잡는 건
    지표 + 뉴스 + 경험의 조합으로만 가능하다.

    이제 그 알고리즘은 당신의 것이 될 수 있다.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