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 연차수당 지급의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안 쓴 연차 그냥 사라지는 줄 아셨나요? 그 연차, 그냥 사라지면 아까운 돈입니다. 일하느라 바빠서 못 쓴 연차휴가를 사실은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많은 분들이 연차수당을 '받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선택사항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회사에서 반드시 지급 의무가 있는 법정수당입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연차수당 받을 수 있는 사람인지, 언제 얼마를 받아야 하는지 깔끔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내 연차, 놓치고 있는 건 아닌지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연차개수 계산기

    연차개수 계산기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용노동부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근로조건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손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입사일과 퇴사일을 입력 후 계산을 누르면 발생한 연차개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만약 재직자의 경우 퇴직일 입력없이 입사일 입력 후 계산을 누르면 재직시점에서 발생한 연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근로조건 계산기 바로가기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수당 지급기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차수당은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라면 누구나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남은 연차가 있다면 1일 통상임금 x 미사용 일수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연차수당을 받으실 수 있는 분들의 폭이 넓은 편입니다. 특히 사용자가 연차 사용을 독려하지 않았다면 무조건 지급 대상이니 놓치지 말고 꼭 챙겨 가시기 바랍니다.

     

     

     

     

    연차수당 지급의무

    연차수당 지급의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차수당은 미사용 연차에 대해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법적 의무입니다. 회사가 연차 사용을 제대로 안내하지 않았다면 무조건 지급해야 합니다.

     

    지급 시기는 연차 발생 1년 후, 또는 퇴직 시점입니다. 정규직뿐 아니라 아르바이트, 계약직도 가능합니다. 못 쓴 연차, 당당하게 수당으로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연차수당 정산

    연차수당 정산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원칙적으로 연차 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하지 않은 연차에 대해 그 다음해 임금지급일에 맞춰 지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1월 1일에 연차가 발생했다면 2024년 12월 31일까지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2025년 1월 급여일에 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연차수당 지급의무란?

    연차수당 지급의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연차수당 지급의무는 근로자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에 대해, 사용자가 돈(수당)으로 보상해야 하는 의무를 말합니다.

     

    즉, 1년 동안 연차를 다 쓰지 못했을 경우 남은 연차일수 x 1일 임금 = 연차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이건 선택사항이 아니라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반응형